올림픽 상징적 장소내 친필 새겨진 비석 앞에서…與인사들 일부 불참

김총리 "현대사 지울수 없는 과오"…노재봉은 "軍 통치기능 참여 숙명" 논란도

엇갈린 공과 속 행사장 밖 '광주학살 주범, 국가장 반대' 피켓시위 vs 추모

(서울=연합뉴스) 김연정 김치연 홍준석 기자 = 3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엄수된 고(故) 노태우 전 대통령의 영결식은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거행됐다.

이날 영결식은 예정된 시간을 20분 넘겨 80분간 진행됐다.

88서울올림픽 조직위원장을 지낸 고인과 인연이 깊은 상징적인 무대에서 유족과 측근들이 고인과 '영결'(永訣)을 한 셈이었다.

이날 오전 9시 빈소인 서울대병원을 출발한 운구차는 노 전 대통령이 별세 직전까지 머물렀던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으로 향해 노제를 지낸 뒤 오전 11시께 영결식장인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 도착했다.

'인류에 평화를, 민족에 영광을. 대통령 노태우'라고 새겨진 비석이 놓인 곳이다.

정식으로 참석한 인사는 국무총리 등 국가 주요 인사, 정당·종단 대표 등 정부 측 초청 인사, 유족 측 인사 등 50명 미만의 조촐한 규모다.

검소하게 장례를 치러달라는 고인 뜻과 코로나19 방역 상황 등을 고려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지만, 공과 평가가 엇갈리며 '국가장' 예우가 적절한지 사회적 논란을 빚은 점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.

영결식서 조사하는 김부겸 총리
(서울=연합뉴스) 30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고(故) 노태우 전 대통령 국가장 영결식에서 김부겸 총리가 조사를 하고 있다. 2021.10.30 [사진공동취재단] photo@yna.co.kr

장례위원장인 김부겸 국무총리, 장례집행위원장인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을 비롯해 부인 김옥숙 여사, 딸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, 아들 노재헌 변호사 등 유족과 친지들, 6공화국 주요 인사들로 구성된 장례위원회 유족 측 위원, 주한 외교단이 참석해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.

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 등 여권 인사들은 영결식에 불참했다. 장례위원회 고문인 박병석 국회의장도 세종시 국회의사당 부지 방문 일정을 이유로 불참했다.

건강상 이유로 발인에 참석하지 못했던 여사는 영결식에는 휠체어를 타고 나와 좌석 맨 앞줄에 자리했다. 김 여사 오른편으로는 소영·재헌 씨 등 유족이 앉았다.

박 의장, 유남석 헌법재판소장, 송 대표 등의 불참으로 김 여사 왼편 두 자리와 김 총리 뒤쪽 등 빈자리들이 눈에 띄었다.

초청받은 정당 대표 중에서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만 유일하게 참석했다. 청와대에서는 유영민 대통령 비서실장과 이철희 정무수석이 참석했다.

뒷줄에는 '6공 황태자'로 불린 박철언 전 정무 제1장관, 청와대 경제수석을 지낸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비롯해 노태우정부 당시 핵심 인사들이 자리했다.

장례위원장인 김부겸 총리는 조사를 통해 88올림픽 성공적 개최, 북방외교 등 노 전 대통령의 공적을 언급하면서도 "우리 현대사에서 지울 수 없는 큰 과오를 저지른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"이라고 말했다.

대통령 비서실장과 국무총리로 고인과 함께했던 노재봉 전 총리가 시작부터 눈시울을 붉히며 추도사를 했다.

노 전 총리는 고인을 '각하'라 부른 뒤 영결식 장소로 이곳이 정해진 배경과 관련해 "'서울올림픽을 허락하지 않으려거든 이 국제올림픽위원회 사무실을 내 무덤으로 만들어달라'던 절규에 기어이 (올림픽이) 열리게 되고, 이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평화의광장에서 각하를 마지막으로 모시겠다는 우리 심정을 헤아리소서"라고 흐느꼈다.

그는 노 전 대통령을 포함한 정규육사 1기생들에 대해 "국민의 문맹률이 거의 80%에 해당하던 한국 사회에서 최초로 현대 문명을 경험하고 한국에 접목시킨 엘리트들이었다"며 "이들에게 한국 정치는 국방의식이 전혀 없는 난장판으로 인식됐다. 이것이 그들(육사 1기생)로 하여금 통치기능에 참여하는 계기였다. 이는 이 1기생 장교들의 숙명이었다고 할 수밖에 없을는지도 모르겠다"며 12·12 군사쿠데타 및 군사독재를 정당화하는 듯한 발언을 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.

분향·헌화 때 김 여사는 눈물을 쏟아냈다. 88서울올림픽 주제가 '손에 손잡고' 등 추모 공연이 이어졌다.

영결식 마지막에는 조총(弔銃) 21발으로 마지막 예우를 갖췄다. 영결식은 노 전 대통령의 영정을 앞세운 운구행렬이 식장을 빠져나가면서 끝났다.

 

 

저작권자 © Radiok1230 우리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